이 강좌는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날지 모르지만 그냥 틈 나는 데로 써 내려 가려합니다.

우선 이 강좌를 소개 하자면... (물론 정식 강좌도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지만.. 그냥 폼잡기 위해서--;) C랑 C++에 대한 기초 적인 부분에서.. 어느정도 활용할수있는 부분 .... 시간이 남으면 DS의 기초적인 부분까지 커버해 볼까 합니다.. (아마도 글 몇개 정도 쓰고서...질릴 듯 ㅡㅡ;) 여튼. 일단.. 필요한것만.. 중심으로. 설명을 전개 하려합니다. (물론 여기 설명만으로는 부족하므로 다른 사이트나 책을 참고 하며 진행하는게 좋고.. 여기는 단지 대충 어떤게 있는지 감만 잡는 수준이 될것임)

내용에서 C랑.. C++은. 같이 진행 할것이므로 C만 알고있던지 C++만 알고 있는 사람은 서로서로 참고 하면서 하면 좋을 것입니다. C코드는 시스템프로그래밍이나 하드웨어계층으로 가면 더욱 중요한 언어이고 C++은 어플리케이션계층으로 가면 갈수록 더욱 파워풀한 언어이니 컴퓨터공부하는 사람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 전공들.. (ex 전전, 수학, 기계..등등..) 에서는. .다 알고 있는게 필요에 따라 두루두루 쓸수있습니다.

일단 제1강은 이런 잡설과 함께 간단한 출력에 대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책에서 항상 사용하는데로 "Hello World"에서 부터 시작합니다~~

[CODE]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CODE]C코드

[CODE] #include <iostream> int main() { std::cout << "Hello World"; return 0; }[/CODE]C++ 코드

두 코드 모두 화면에 Hello World 라는 문장을 뿌리는걸로 기능은 같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인 틀도 비슷하죠. 우선 시작은 #include <> 를 포함하게 되는게 이 문장의 뜻은 <> 안에 들어가 있는 이름의 파일을 사용하겠다는 뜻인데 여기에서 이렇게 사용한 이유는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이 그 파일들에 들어가 있다는 뜻입니다.

C에서. stdio.h 에는 기본적인 입출력(Standard Input Output)에 관한 기능들을 탑재한 파일로 그중에서 printf 는 앞으로도 자주자주 보게 될 다기능 출력 함수입니다. 물론 몇몇 강좌에서는 이렇게 어려운 (실제 구동 원리는 매우 어렵습니다.) 함수말고 puts("Hello World"); 와 같은 직관 적인 함수를 사용하지만 어짜피 이 함수를 더욱 많이 사용할 것이니 이것을 중시으로 구현합니다.

C++에서 사용한 iostream은 입출력 스트림(Input Output Stream)이 들어가 있는 파일입니다. (이런 파일을 헤더파일이라 하죠) 여기에 있는 cout 객체 (C++에서 객체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를 사용해서 문장을 출력합니다.

#include 를 이용해 원하는 기능을 가진 헤더파일을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은 앞으롣 stdio.h나 iostream말고도 다양한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뒤에 int main() {} 와 같은 구조가 보이는데 이것은 단순히 프로그램의 시작이 여기에서 시작하겠다는 표식으로 이런 형식을 함수라 부릅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int main() { return 0; } 와 같은 구조는 일단 그대로 외워서 프로그래밍 할때 계속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뒤에 가면 다시 설명하게 되므로 그 때 자세히 확인을 하도록 합시다.

이제 printf 랑 cout 의 사용법을 보겠습니다. 우선 printf 를 이해하려하기는 어려우니 일단은 간단한 사용법으로는 printf("문장"); 처럼 사용하는데 겹따옴표 " 는 그 사이에 문장을 넣어서 글자 그대로 문장을 뜻하는 것이며 모든 함수의 구조를 따르는 printf 는 함수이름(내용); 의 모양을 사용합니다.

cout도 또한 이해하기는 쉽지 않으니 사용법만 알아보도록 합시다. cout는 객체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namespace를 선정해 줘야하는데 일반적으로 그냥 앞부분에서 using namespace std; 라고 일반적인 namespace를 std로 설정해줄수있지만 원래 대로라면 std::cout 이라 적어 줘야합니다.. 앞으로는 using 문을 이용해서 먼저 사전 선언을 해서 쓰겠습니다. cout 뒤에는 << 라는 기호를 이용해서 글자 그대로 cout 을 향해서 문장을 보냅니다. 물론 cout << "Hello " << "World"; 와 같이 두 문장을 붙혀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제1강에서는 그냥 단순히 출력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비록 내용은 초! 허접이지만 그래도 개인적으로 정리할겸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릴겸 작성해 나갈 생각입니다.
Posted by PJH=파덕
:
BLOG main image
파덕이의 꿈바라기
PJH's Homepage by PJH=파덕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97)
잡담 (106)
일본 이야기 (21)
천문학 이야기 (0)
(old)잡담 (36)
(old)물건 이야기 (3)
(old)J-Pop 이야기 (6)
(old)천문학 이야기 (5)
(old)컴퓨터 이야기 (7)
(old)유럽축구 이야기 (1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otal :
Today : Yesterday :